1. 문자 개수 세기
[문제 설명]
알파벳 대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my_string이 주어질 때, my_string에서 'A'의 개수, my_string에서 'B'의 개수,..., my_string에서 'Z'의 개수, my_string에서 'a'의 개수, my_string에서 'b'의 개수,..., my_string에서 'z'의 개수를 순서대로 담은 길이 52의 정수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my_string) {
const count = new Array(52).fill(0);
for (let i = 0; i < my_string.length; i++) {
const char = my_string[i];
if (char >= 'A' && char <= 'Z') {
count[char.charCodeAt(0) - 'A'.charCodeAt(0)]++;
}
else if (char >= 'a' && char <= 'z') {
count[char.charCodeAt(0) - 'a'.charCodeAt(0) + 26]++;
}
}
return count;
}
💡 배열 생성하고 막막해서 노가다로 하나씩 찍으려다가 내용을 좀 찾아봤다. charCodeAt() 메서드를 활용해 풀어보았다.
📌 charCodeAt() : 문자열에서 특정 인덱스에 해당하는 문자의 유니코드를 반환
[다른 답변]
function solution(my_string) {
var answer = new Array(52).fill(0);
let alphabet =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
my_string.split("").map((v) => answer[alphabet.indexOf(v)] += 1)
return answer;
}
💡 다른 분의 답안을 참고하여 한 번 더 풀어보았다. answer 배열을 생성하고, 알파벳을 담은 변수를 생성했다.
문자열 my_string을 배열로 만들고 map()으로 순회하여 alphabet에 해당되는 인덱스의 값을 1씩 올려주는 방식이다.
이렇게도 풀 수 있었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었다 !
📌indexOf(searchValue, fromIndex)
- searchValue : 찾고자 하는 문자열 또는 문자
- fromIndex :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를 지정. 기본값은 0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 또는 문자의 첫 번째 등장하는 인덱스를 반환하는 메서드. 문자가 존재하지 않으면 -1을 반환한다.
2. 배열 만들기 1
[문제 설명]
정수 n과 k가 주어졌을 때, 1 이상 n이하의 정수 중에서 k의 배수를 오름차순으로 저장한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n, k) {
let answer = [];
for (let i = 1; i <= n; i++) {
answer.push(i);
}
return answer.filter(v => v % k === 0);
}
💡 for문으로 answer 배열에 n까지의 정수를 담아주고, filter를 활용해 k의 배수만 return 해주었다.
근데 생각해보니 for문을 for (i = k ; i <= n ; i += k) 로 해주었으면 배수만 담겼을텐데 하고 생각했다.
3. 글자 지우기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과 정수 배열 indices가 주어질 때, my_string에서 indices의 원소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글자를 지우고 이어 붙인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my_string, indices) {
return [...my_string].filter((_, i) => !indices.includes(i)).join('');
}
💡 진짜 빨리 풀었다! 전개연산자, filter(), includes(), join()을 활용해 뚝딱
4. 카운트 다운
[문제 설명]
정수 start와 end가 주어질 때, start에서 end까지 1씩 감소하는 수들을 차례로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start, end) {
let answer = [];
for (let i = start; i >= end; i--) {
answer.push(i);
}
return answer;
}
💡 진짜 기초로 풀었다... for문 첫걸음 느낌
[참고할 내용]
📌 Array.from() : 배열의 정적 메서드 중 하나로, 유사 배열 객체 또는 이터러블 객체를 배열로 변환하는 역할.
배열과 비슷한 객체나 이터러블을 배열로 쉽게 만들 수 있다.
Array.from(arrayLikeOrIterable[, bapFn[, thisArg]])
- arrayLikeOrIterable : 배열로 변환할 유사 배열 객체 또는 이터러블 객체
- mapFn (선택) : 배열의 모든 요소에 대해 호출할 매핑 함수로, 각 요소를 변환하여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데 사용
- thisArg (선택) : mapFn 함수 내부에서 this로 사용될 값
5. 가까운 1 찾기
[문제 설명]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이때 arr의 원소는 1 또는 0입니다. 정수 idx가 주어졌을 때, idx보다 크면서 배열의 값이 1인 가장 작은 인덱스를 찾아서 반환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만약 그러한 인덱스가 없다면 -1을 반환합니다.
[답변]
function solution(arr, idx) {
let answer = 0;
for (let i = 0; i < arr.length; i++){
if (i >= idx && arr[i] === 1) {
return i;
}
};
return -1;
}
💡 문제에 오류가 있었다. idx보다 크거나 같아야 했음. 빨리 찾아서 어렵지는 않았다!
[다른 답변]
const solution = (a, i) => a.indexOf(1, i);
💡 항상 답안을 제출하고 이런 짧은 코드를 보면 놀란다... indexOf를 활용한 코드
📌 indexOf() : 문자열 또는 배열에서 특정 요소의 인덱스를 찾는 메서드. 해당 요소가 없으면 -1 반환. 대소문자 구분
[다른 답변 2]
function solution(arr, idx) {
return arr.findIndex((v, i) => idx <= i && v === 1);
}
📌 findIndex() : 배열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첫 번째 요소의 인덱스를 찾는 메서드. 만족하는 요소를 찾으면 해당 요소의 인덱스를 반환. 없으면 -1 반환
'프로그래머스 > Lv. 0 코딩 기초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3 / JS (0) | 2023.08.01 |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2 / JS (0) | 2023.07.31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0 / JS (0) | 2023.07.29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9 / JS (0) | 2023.07.28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8 / 주사위게임 3 / JS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