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홀수 vs 짝수
[문제 설명]
정수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집니다. 가장 첫 번째 원소를 1번 원소라고 할 때, 홀수 번째 원소들의 합과 짝수 번째 원소들의 합 중 큰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두 값이 같을 경우 그 값을 return합니다.
[답변]
function solution(num_list) {
let odd = 0;
let even = 0;
num_list.forEach((v, i) => {
i % 2 === 0 ? even += v : odd += v;
});
return odd > even ? odd : even;
}
💡 forEach()
로 num_list 배열을 순회하며 index(i)가 짝수면 even에 값을 더해주고, 홀수면 odd에 더해주었다. 그리고 둘 중 더 큰 값을 return 해준다
2. 5명씩
[문제 설명]
최대 5명씩 탑승가능한 놀이기구를 타기 위해 줄을 서있는 사람들의 이름이 담긴 문자열 리스트 names가 주어질 때, 앞에서 부터 5명씩 묶은 그룹의 가장 앞에 서있는 사람들의 이름을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마지막 그룹이 5명이 되지 않더라도 가장 앞에 있는 사람의 이름을 포함합니다.
[답변]
function solution(names) {
return names.filter((_, i) => !(i % 5));
}
💡 filter()
로 뚝딱 해결
3. 할 일 목록
[문제 설명]
오늘 해야 할 일이 담긴 문자열 배열 todo_list와 각각의 일을 지금 마쳤는지를 나타내는 boolean 배열 finishe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todo_list에서 아직 마치지 못한 일들을 순서대로 담은 문자열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todo_list, finished) {
return todo_list.filter((_, i) => !finished[i]);
}
💡 filter()
활용! true가 반환되니까 false인 목록을 출력하기 위해 !
부정연산자를 사용해 필터링하여 return
4. n보다 커질 때까지 더하기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와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원소를 앞에서부터 하나씩 더하다가 그 합이 n보다 커지는 순간 이때까지 더했던 원소들의 합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numbers, n) {
return numbers.reduce((acc, curr) => (acc <= n) ? acc + curr : acc);
}
💡 reduce()
와 삼항연산자를 활용해 풀어보았다.
📌 reduce()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콜백 함수를 실행하면서 배열의 값을 하나의 결과로 누적하는 배열 메서드
- 문법 :
arr.reduce(callback[, initialValue])
- callback 함수의 매개변수 :
accmulator, currentValue[, currentIndex, array]
5. 수열과 구간 쿼리 1
[문제 설명]
정수 배열 arr와 2차원 정수 배열 queries이 주어집니다. queries의 원소는 각각 하나의 query를 나타내며, [s, e] 꼴입니다.
각 query마다 순서대로 s ≤ i ≤ e인 모든 i에 대해 arr[i]에 1을 더합니다.
위 규칙에 따라 queries를 처리한 이후의 arr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답변]
function solution(arr, queries) {
queries.forEach((query) => {
const [s, e] = query;
arr.forEach((_, i) => {
if(s <= i && i <= e) {
arr[i] += 1;
}
});
});
return arr;
}
💡 forEach()
로 queries와 arr를 순회하며 작업해주었다.
[다른 답변]
function solution(arr, queries) {
queries.forEach(([s, e]) => {
while (s <= e) arr[s++]++;
});
return arr;
}
💡 이 답변을 보고 깨달았다 s <= i && i <=
이 조건은 s <= e
와 같다는 사실을... 🤦♀️
'프로그래머스 > Lv. 0 코딩 기초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6 / JS (0) | 2023.08.04 |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5 / JS (0) | 2023.08.03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3 / JS (0) | 2023.08.01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2 / JS (0) | 2023.07.31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Day 11 / JS (0) | 2023.07.30 |